맨위로가기

김성훈 (과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훈은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RSs)의 새로운 기능과 이들의 병리학적 연결고리를 인간 질병과 관련하여 연구하는 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브라운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AIMP2/p38, AIMP3/p18과 같은 새로운 종양 억제 인자를 규명하고, 라이실-tRNA 합성효소(KRS), 트립토파닐-tRNA 합성효소(WRS) 및 AIMP1/p43과 같은 ARS 및 관련 인자들의 새로운 세포 외 활성에 대해 연구했다. 폐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AIMP2의 발암 변이체인 AIMP2-DX2를 발견했으며, 류실-tRNA 합성효소(LRS)가 mTOR 신호 전달 경로의 아미노산 센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ARS의 새로운 기능들을 밝혀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으며, 동훈상, 대한민국 과학상,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인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김정룡
    김정룡은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B' 개발과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 분리 성공으로 국내 간 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대한민국 의학자이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정재웅 (미생물학자)
    정재웅은 서울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로, RIG-I, TRIM25, 자가포식 등에 대한 연구로 2012년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 박상대
    박상대는 대한민국의 분자세포생물학자로서, 국내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분자생물학회 설립 및 학술지 창간을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2024년 별세했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민병주
    민병주는 물리학자, 원자력공학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김성훈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성훈
로마자 표기Gim Seong-hun
출생1958년 7월 10일
분야의약생명과학(암, 신약 타겟 개발, 단백질 합성)
소속연세대학교 약학대학 및 의과대학
학력미국 브라운 대학교(박사)
경력
주요 연구 분야아미노아실-tRNA 합성 효소, 단백질 번역, 암 생물학, 치료 표적 발굴
근무 기관서울대학교 (이전)
수상
수상 내역한국과학상, 과학기술부 (2003년)
이달의 과학기술자, 한국과학재단 (KOSEF) (200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과학기술부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상 (2012년)

2. 학력

연도학위학교
1981년이학사서울대학교
1983년석사한국과학기술원
1991년철학박사브라운 대학교


3. 경력

wikitext

기간소속 및 직책
1988년 ~ 2007년ARS 네트워크 국가 창의 연구 이니셔티브 센터 소장
1991년 ~ 1994년MIT 박사후 연구원
1994년 ~ 2001년성균관대학교 부교수
2001년 ~ 현재서울대학교 교수
2007년 ~ 2010년의약 단백질 네트워크 및 시스템 생물학 센터 소장
2010년 ~ 현재의약 바이오 컨버전스 연구 센터 소장


4. 주요 업적

김성훈 박사는 오랫동안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효소로만 여겨졌던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RSs)가 실제로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여러 인간 질병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밝히는 연구를 선도해왔다.[1][2]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ARS들이 매개하는 새로운 세포 조절 네트워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이 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한 것이다.

그는 연구를 통해 , 노화, 대사 질환 등 주요 인간 질병과 관련된 ARS 및 관련 인자들을 연속적으로 발견했다. 특히 의 발생 및 억제와 관련된 중요한 인자들(AIMP2/p38[3], AIMP3/p18[4] 등)과 새로운 세포 외부 활성을 가진 인자들(KRS[5], WRS[6], AIMP1/p43[7] 등)을 규명했으며, 폐암과 관련된 특정 변이체(AIMP2-DX2[8])를 발견하여 새로운 치료 표적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또한, 세포 성장과 대사에 중요한 mTOR 신호 전달 경로에서 아미노산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류실-tRNA 합성효소(LRS)를 발견[9]하여 생명 현상의 근본적인 조절 기작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은 수십 년간 간과되어 온 ARS의 새로운 조절 기능과 질병에서의 중요성을 밝혀냈으며, 생명 현상과 인간 질병의 핵심 원리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 분야를 이끌고 있다.

4. 1. ARS의 새로운 기능 발견

김성훈 박사는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RSs)가 단백질 합성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에서 다양한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왔다.[1][2] 그는 ARS들이 수행하는 새로운 세포 조절 네트워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며 이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다.

그의 주요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암 관련 인자 발견: 암 발생 및 억제와 관련된 여러 ARS 관련 인자들을 연속적으로 발견했다.
  • 강력한 신규 종양 억제 인자인 AIMP2/p38[3]과 AIMP3/p18[4]을 규명했다.
  • 라이실-tRNA 합성효소(KRS)[5], 트립토파닐-tRNA 합성효소(WRS)[6], AIMP1/p43[7] 등 ARS 및 관련 인자들의 새로운 세포 외부 활성을 연구했다.
  • 폐암 환자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AIMP2의 발암성 변이체인 AIMP2-DX2를 발견했다.[8] AIMP2-DX2는 새로운 암 치료용 표적으로 주목받아, 노바티스로부터 아시아 최초로 투자를 유치하여 신약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아미노산 센서 발견: 암, 노화, 대사 질환 등과 관련된 중요한 세포 신호 전달 경로인 mTOR 신호 전달 과정에서, 류실-tRNA 합성효소(LRS)가 아미노산 센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9]


요약하면, 김성훈 박사의 연구는 오랫동안 단백질 합성 효소로만 알려졌던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RS)들이 실제로는 세포 내에서 중요한 조절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의 기능 이상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인간 질병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그의 연구는 생명 현상과 질병의 근본 원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관련 연구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4. 2. 암 관련 연구

김성훈 박사는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ARSs)의 새로운 기능과 이들이 인간 질병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연구해왔다.[1][2] 그는 이 연구를 통해 기존에 단백질 합성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ARS들이 실제로는 세포 내에서 중요한 조절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며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했다.

그는 특히 암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발견들을 이어갔다. 그는 강력한 새로운 종양 억제 인자인 AIMP2/p38[3]과 AIMP3/p18[4]을 규명했으며, 라이실-tRNA 합성효소(KRS)[5], 트립토파닐-tRNA 합성효소(WRS)[6], AIMP1/p43[7] 등 ARS 및 관련 인자들이 세포 밖에서도 새로운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더 나아가, 그는 폐암 환자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AIMP2의 발암성 변이체인 AIMP2-DX2를 발견했다.[8] 이 발견은 새로운 암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열었으며, 노바티스로부터 아시아 최초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또한, 암, 노화, 대사 질환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mTOR 신호 전달 경로에서 아미노산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류실-tRNA 합성효소(LRS)임을 밝혀냈다.[9]

요약하면, 그의 연구는 오랫동안 단백질 합성의 보조 역할로만 여겨졌던 인간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들이 실제로는 생명 현상 조절과 질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그의 연구는 ARS의 새로운 기능과 병리학적 중요성을 밝혀냄으로써 생명 과학 및 의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5. 수상

참조

[1] 논문 Aminoacyl tRNA synthetases and their connections to disease http://www.pnas.org/[...]
[2] 학술지 Aminoacyl-tRNA synthetases and tumorigenesis: More than housekeeping http://www.nature.co[...]
[3] 학술지 Downregulation of FUSE-binding protein and c-myc by tRNA synthetase cofactor p38 is required for lung cell differentiation http://www.nature.co[...]
[4] 논문 Cell - The Haploinsufficient Tumor Suppressor p18 Upregulates p53 via Interactions with ATM/ATR http://www.cell.com/[...]
[5] 논문 Human lysyl-tRNA synthetase is secreted to trigger proinflammatory response http://www.pnas.org/[...]
[6] 학술지 A short peptide insertion crucial for angiostatic activity of human tryptophanyl-tRNA synthetase http://www.nature.co[...]
[7] 논문 Hormonal activity of AIMP1/p43 for glucose homeostasis http://www.pnas.org/[...]
[8] 논문 PLOS Genetics: Cancer-Associated Splicing Variant of Tumor Suppressor AIMP2/p38: Pathological Implication in Tumorigenesis http://www.plosgenet[...]
[9] 논문 Cell - Leucyl-tRNA Synthetase Is an Intracellular Leucine Sensor for the mTORC1-Signaling Pathway http://www.cell.com/[...]
[10] 웹사이트 KOFST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https://archive.toda[...] 2013-06-10
[11] 웹사이트 NAS Award : Activities :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2013-06-10
[12] 간행물 Nat Rev Cancer 11, 708-718, 2011; PNAS 105, 11043,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